- 영문명
-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Fermented Chestnut Puree by Lactic Acid Bacteria as Starter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이진만(Jin-Man Lee) 허상선(Sang-Sun Hur)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2호, 333~34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증숙밤(95℃, 90분) 페이스트의 발효에 적합한 유산균을 탐색하고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밤 발효 퓨레의 품질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산균 12종에 대하여 2.0%(v/w)의 농도로 접종하여 3 7℃에서 48시간 발효한 결과 L. plantarum KCTC 21004가 산 생성능이 우수하였다. 증숙밤의 함량, 균접종량 및 발효온도에 따른 발효 밤 퓨레의 발효 및 품질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물리화학적 특성에는 큰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퓨레의 물성 측정시 증숙밤 50% 함량 페이스트가 최적의 조건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fermented chestnut puree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using steamed chestnut paste at 95℃ for 90 min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qualit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chestnut puree during ferment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were reported. 12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noculated to steamed chestnut paste at a concentration of 2%(v/w), respectively, and incubated at 37℃ for 48 hr. Lactobacillus plantarum(KCTC 21004) was the most superior in acid production among 12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to the fermented chestnut puree. The effect of steamed chestnut concentration, inoculum size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for fermented chestnut puree on physical propertie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but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steamed chestnut for puree properties is 50%.
목차
1. 서론
2. 실험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