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leep Disturbance on the Dysmenorrhea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향수(Hyang-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2호, 399~41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수면장애, 월경곤란증의 정도 및 그들 변수 간의 관계와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월경곤란증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 료로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C도 J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11 월 11일~12월 9일 총 4주 동안 총 160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월경곤란증과 지각된 스트레스(r=.420, p<.001), 우울(r=.459, p<.001), 수면장애(r=.429,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 다.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수면장애,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29.3%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월경곤란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수면의 질을 높이고 우울은 감소시키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낮추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provide the basis of program development for further dysmenorrhea relief by looking into identify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and dysmenorrhea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dysmenorrhea. We collected 160 data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J university. The study period lasted four weeks, going from Nov 11 to Dec 9. The correlated factors of dysmenorrhea included perceived stress(r=.420, p<.001), depression(r=.459, p<.001), sleep disturbance(r=.429, p<.001). The prevalent factors influencing dysmenorrhea are sleep disturbance, depression, perceived stress. Therefore, it will be needed to find ways and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to relieve perceived stress, reduce depression and enhance the sleep quality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dysmenorrhea relief.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