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and Prospect of the U.S. Human Rights Foreign Policy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저자명
- 이상환(Lee, Sang-Hwan)
- 간행물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제22집 제2호, 75~9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0

국문 초록
최근 인권을 중요시하는 미국의 외교적인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미국적 가치의 확산’ 즉 미국식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확산이라는 미국 외교정책의 목표 수행이라는 차원에서 인권외교는 미국 외교정책의 중심축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최근 국제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뉴 인터내셔날리즘(new internationalism)’과 인간안보(human security) 논의와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미국 인권외교의 전략적인 선택과 그 강도는 미국 대통령의 통치 스타일과 그 대상국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져 왔으며, 미국외교에 있어 인권문제가 최우선의 자리에 오기까지에는 아직 많은 시간이 요구되어지며, 아직은 부차적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U.S. government has strengthened its human rights foreign policy for the purpose of the enlargement of American values such as American democracy and capitalism. American human rights diplomacy is based on the concepts of new internationalism’ and human security. The contents and strengths of the U.S. human rights foreign policy have depended on its presidential leadership and counterparts. The U.S. has utilized human rights issues as an instrument in pursuing its national interests.
목차
Ⅰ. 서론: 인권 그리고 미국의 인권외교정책
Ⅱ. 미국 인권외교정책의 변화
Ⅲ. 미국의 인권외교 사례연구: 한국과 중국, 코소보와 동티모르, 그리고 이라크
Ⅳ. 결론: 미국 인군외교의 한계와 바람직한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