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efficient shading techniques for low polygon models using point clouds in Unity3D
이용수 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황인태(In Tae Hwang) 이승현(Seung Hyun LEE) 심원형(Won Hyung SHIM) 이원형(Won H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3권 4호, 127~13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국문 초록
포인트 클라우드를 활용한 폴리곤 모델 활용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있다. 이러한 연구는 대부분 하이 폴리곤 모델을 대상으로 생성된 모델을 활용한 기술이다. 오늘날 비디오 게임 등에서 활용되는 하이 폴리곤 모델은 대부분 높은 퍼포먼스를 바탕으로 화려한 효과를 표현한다. 그러나 게임 등의 콘텐츠에 있어서 화려한 효과와 높은 품질의 리소스를 활용한 게임만이 만족도를 충족시켜주는 것이 아니다. 콘텐츠에 따라서 의도적으로 로우 폴리곤 모델을 활용하기도 한다. 인디 게임 등에서는 낮은 접근성을 장점으로 로우 폴리곤 형태의 모델을 제작하여 이를 활용한 게임들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로우 폴리곤 모델을 생성 및 음영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러 개의 모델을 생성하여, 각각의 모델이 하나의 텍스처를 공유하고, 음영을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라이트맵 기법의 결과물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한다.
영문 초록
The use of polygon models using point cloud is continuously studied. These studies are mostly techniques using models generated for high-polygon models. Most high-polygon models used in video games today express spectacular effects based on high performance. However, games that utilize colorful effects and high quality resources are not the only ones that satisfy the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content, the low-polygon model may be used intentionally. In indie games, low-polygon models have been produced with low accessibility, and games that utilize them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ways to utilize point cloud data to create and shade low polygon models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Generating several models, each model shares one texture and processes shading. Finally, conduct an experiment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light map technique.
목차
1. Introduction
2. Related research
3. Proposed method
4. Experimental results
5. Conclusion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