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김성준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0 춘계학술대회논문집, 9~12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22
국문 초록
2004년 3월 나주 영산강변에서 한선의 만곡부 종통재 2편과 저판재 2편 등이 수습되었는데, 이 선박은 고려 초기의 선박으로 추정되었다. 일명 ‘나주선’으로 불리는 이 선박은 잔존 저판 길이 9.2m, 만곡종통재 5.66m로 이제까지 발굴된 한선 가운데 저판 1매의 길이와 만곡종통재 길이에서는 가장 큰 크다. 따라서 발굴 당시부터 발견지가 영산강 유역이라는 점과 잔존 부재의 엄청난 크기 등을 고려해 고려 태조 왕건이 나주 공략시 활용했다는 樓船일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조심스럽게 제기된 바 있다. 나주선과 관련해서는 고려 시대 초마선임을 전제로 전장 29.9m, 너비 8.2m, 흘수 1.5m 정도의 제원을 갖춘 총톤수 82톤, 만재중량 93톤 정도로 크기를 복원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잔존한 저판과 만곡종통재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정하에 나주선의 톤수를 추정해 보고자 했다. 잔존 부재의 양이 매우 부족하므로 만곡종통재를 갖춘 발굴선과, 발굴 고려선, 그리고 조선시대 여러 한선의 제원비를 활용하여 톤수를 추정해 볼 것이다. 이것은 나주 고려선의 톤수의 크기를 가늠하는 구체적 범위를 제시함과 동시에, 왕건의 누선일 수도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 배경
2. 주요 발굴 고려선 현황
3. 나주 고려선 톤수 추정
4.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