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U.S. Approval of Post-fire Operator Manual Action and Application Method to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재환(Jae Hwan Kim) 박준현(Jun Hy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5~25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2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2015년 12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시 제2015-11호(현 2018-9호)를 발행하여 국내 전 원전에서 화재 후 안전정지 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중오동작(Multiple Spurious Operations, MSO) 문제를 분석하고 필요한 개선 조치를 수행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에 따라 국내에서는 미국 원전사업자협회(Nuclear Energy Institute, NEI)에서 발행한 NEI 00-01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MSO 분석을 수행 중이다.
MSO 분석에서는 화재 시 5가지 화재안전정지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기를 선정하여야 하고 이들 기기는 안전정지 달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따라 고온정지 필수기기(Required Hot Shutdown Components, RHSCs), 안전정지 중요기기(Important to Safe Shutdown Components, ISSCs)로 구분된다. NEI 00-01에서는 ISSCs에 한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장 운전원 수동조치(Operator Manual Action, OMA) 적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향후 국내에서도 OMA를 통한 MSO 문제 해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에서는 가동원전 104개 호기 중 약 절반에 해당하는 원전이 NFPA 805에 따른 위험도정보활용 성능기반(Risk-informed Performance-based) 방법론으로 전환하였으며, 나머지 원전 중 11개 호기가 OMA에 대한 승인을 신청하였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는 자료 검토, 현장 검증, 질의 답변 등을 통하여 신청된 OMA를 검토 및 승인하고 있다. OMA를 신청한 미국 원전 중 하나인 Millstone 2 원전은 NUREG-1852에 근거하여 OMA 이행 가능성 평가 결과를 제출하고 NRC와 약 10여차례에 걸친 질의답변 등을 거쳐 화재 시 적용하는 OMA를 승인 받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illstone 2 원전의 OMA 승인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원전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