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dvent of an aging society and the study of old age poetry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조춘희(Jo Chun-hee)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64집, 187~21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고령화의 전지구화는 인구구조의 변화뿐 아니라 무수한 불확실성을 야기한
다. 그 탓에 우리는 일찍이 경험한 적 없는 ‘늙은 사회’를 어떻게 구성해 나갈
지 다방면으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년학의 성립은 이러한 고민의 산물
이며, 의학을 필두로 사회복지학, 심리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섭적
소통을 모색하고 있다. 주지하듯이 문학은 한 시대와의 소통의 산물이다. 아직
본격적인 연구 토대를 구성하지 못한 노년시에 대한 탐색을 통해서 우리 사회
가 노년을 바라보는 방식을 궁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노년’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의 일환으로 현대 서정문학에 나타난 노인성의 문제를 고찰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해 고령화 사회 ‘노년’의 좌표를 간취하고, 노년시 연구의 필요
성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나아가 현대시/시조에 나타나는 노년인식, 즉 노인
성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노년세대를 이해하는 일방식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범박하게 규정하면 노년시는 노년 주체가 말하는 경우와 노년을 말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노년은 ‘늙음’을 현재적 사건으로 경험하며, 죽음과 소멸에 대한 감수성을 표출한다. 반면 노년 및 노인 문제는 다른 세대를 통해 새롭게
발견되기도 한다. 본고는 이를 주제적 측면에서 ‘늙음’ 수용방식과 죽음인식
그리고 사회적 배제를 겪는 하층노인의 문제로 분류해서 고찰하였다. 고령화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은 노년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특
히 노년시를 통한 탐색은 이 시대 문학의 역할을 정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Globalization of aging causes a variety of changes and uncertainty in the
population structure. Establishment of Gerontology is the product of these
concerns. Thing that make a place for established and the communication of
important social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Literature is a product of the era
of communication. The elderly in our society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will be able to explore ways to look at old age.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modern age poetry as part of humanistic reflection on old age.
In summary, the aging in modern poetry and modern sijo can be considered
through the way of accepting oldness, the recognition of death, and the reality
of the life of the elderly. If the two elements a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elderly subject s self-awareness and old sense, then the last requirement can
be considered when looking at the way our society works. This will enable us
to grasp the reality of our society and identify its coordinates. In the end, the
elderly in this age is a requirement to provide a basis for how to view and
understand elderly people who are defined differently in different ages.
Thus humanistic reflection on aging have emerged as a problem of global
dimensions must be the premise for understanding aging. Especially navigating
the age-old poetry contributes to establish the role of this era literatur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