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Nakdong Estuary Barrage s Discharge and Sediment Load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복대건(Dae-Guen Bok) 김강민(Kang-Min Kim) 이중우(Joong-Woo Lee) 강석진(Seok-Jin Kan)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8 추계학술대회논문집, 32~33쪽, 전체 2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국문 초록
낙동강 하구의 지형변화를 포함한 제 해양환경은 낙동강 하굿둑이 건설된 1987년 7월 이후로 분기된다. 즉, 낙동강 하굿둑이 건설되기 전에는 낙동강의 작은 하상구배로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구역이 현재의 하굿둑 보다 상류에 위치하였으나 하굿둑 건설 이후에는 하굿둑 수문 조작에 따라 방류되는 유출수에 의해 유동 양상이 변화되기에, 낙동강 하굿둑의 방류량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굿둑 제원, 방류패턴, 하굿둑 주변 강수량, 하굿둑 방류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낙동강 하굿둑 방류량에 의한 유사량 분석을 수행하여, 낙동강 하류역의 지형변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낙동강 하굿둑 방류량은 최근 13년 동안의 연평균방류량은 19,274.56×106㎥이고 일평균 방류량은 52.81×106㎥이고 초당평균 방류량은 611.19㎥으로 산정되었다. 낙동강 하굿둑 건설 이후 퇴사량과 준설량을 근거하여 계산된 연간 평균 총유사량은 3,184,405㎥/yr이고, 낙동강 하굿둑의 경우 연평균 부유사량이 3,153,995㎥/yr, 소류사량
이 30,410㎥/yr이며 소유사량이 부유사량의 약 1.0%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