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Habit, Peer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진(Lee Young Jin) 노승희(Noh Seu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1호, 695~7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학습습관, 또래애착, 삶의 만족도 및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관계인지 알아보고 각 변인들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 KCYPS)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2002명의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습습관, 또래애착, 삶의 만족도 및 자아탄력성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학습습관, 또래애착 및 삶의 만족도가 아동 자아탄력성의 43%를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학습습관이 가장 강력한 정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habit, peer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002 1st grade elementary-school children who attended the 7th annual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habit, peer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learning habit” was to be the most meaningful predictive variable that affects “ego-resilience”.
And “trust” which is sub variable of “peer attachment” was found as the most meaningful predictive variable that affects “ego-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opinion is provided to support measures to improve the children’s ego-resil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