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Habit, Peer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진(Lee Young Jin) 노승희(Noh Seu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1호, 695~71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학습습관, 또래애착, 삶의 만족도 및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관계인지 알아보고 각 변인들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 KCYPS)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2002명의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습습관, 또래애착, 삶의 만족도 및 자아탄력성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학습습관, 또래애착 및 삶의 만족도가 아동 자아탄력성의 43%를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학습습관이 가장 강력한 정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habit, peer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002 1st grade elementary-school children who attended the 7th annual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habit, peer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learning habit” was to be the most meaningful predictive variable that affects “ego-resilience”.
And “trust” which is sub variable of “peer attachment” was found as the most meaningful predictive variable that affects “ego-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opinion is provided to support measures to improve the children’s ego-resil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보편적 인성 및 교직 인성 요소 탐색
 - Facilitating Students’ Quality Learning Experience by Delivering Direct Instruction in an Autonomy-Supportive Way
 - Professional Teacher Identity and Innovational Instructional Approaches
 - 남녀 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 진로장벽, 진로결정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Incorporating Humorous Children’s Poetry in Korean EFL Classrooms
 - 교원능력개발평가에 참여한 병설유치원 소규모학급 교사 이야기
 - ‘치매돌봄가족’의 운동프로그램 참여 사례연구
 - 동화를 활용한 유아 과학․미술 융합교육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미술능력에 미치는 효과
 -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한 STEAM R&E 학생 연구보고서 분석
 - 유아들의 관점에서 본 좋은 교사
 - 한국과 미국의 사회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방식 유형에 따른 삶의 목표 유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대학생의 결혼의식, 직업의식, 양성평등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적응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대학 교양수학 수업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스포츠클럽 진흥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협력적 로컬거버넌스 평가지표 개발
 - TIMSS 2015 ‘수’ 영역 정답률 분석을 통한 수학과 교육과정 고찰
 - 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 유형이 ‘전문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에서 동영상 자기관찰 학습법 적용 효과
 - 탈북대학생 학업 적응 곤란 요인 및 적응 지원 방안 연구
 - 한국 대학원생의 읽기 전략 지도 전과 후의 책략사용과 인식에 관한 사례 연구
 - 다큐 애니메이션 <페루자>를 활용한 포토 에세이 쓰기
 - 외국인 화자와의 대화에서 한국인의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 분석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동기, 교직적성, 교직전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거꾸로 학습의 교실수업을 위한 과학과 탐구 수업모형의 탐색적 연구
 - 고등학생의 충동성과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도박동기의 매개효과
 - 교사의 정신건강문제 예방 및 치료적 개입 관련 국․내외 연구 현황
 -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에 대한 고찰
 - 간호사의 낙상관련요인에 대한 태도 및 예방활동
 - 사범대 특화 교양 <미래 학교와 인성 교육> 강좌 내 국어교육 영역 인성 교육 실행 양상 분석
 - 혐오사회와 공존의 시민성 교육
 - 학교급별 스트레스, 게임중독, 주관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 초등학생의 도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모듈에 따른 행복감과 교직열정의 차이연구
 - Exploring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lan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a Socio-ecological Model
 - 연음규칙을 적용한 체언-조사 어절에서 3-5세 한국아동의 체언인식
 - 대학 수업에서 성찰 기반 플립드러닝의 효과
 - 대학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 언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포분열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오류 유형 분석
 -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다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사전교육의 효과
 -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이 뇌 지수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정보윤리의식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에서 미디어 중독의 다중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 체육계열 재학생의 학습만족도,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 양상에 관한 연구
 - 융합 사례 분석을 통한 융합교육의 방향성 모색
 - 예비과학교사들의 진로결정 동기요인 분석
 -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도덕 수업 형성 방안 연구
 - 문제중심학습 기반의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업적 효능감,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 내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학습습관, 또래애착, 삶의 만족도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분석
 -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대학생활에서의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특성과 학업 중도 탈락의 상관성 분석
 - 간호사의 진성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