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issionary Patterns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 A Miss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tion in the Shinto Shrine Rite by Kim Chai-choon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최성일(Choi Sung-Il)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2005년 여름호(제129집), 191~22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01

국문 초록
기독교 역사를 통해 박해시대에 기독교인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박해에 대응했다. 그들의 반응은 저항, 순교, 도피, 순례, 은둔, 순응, 그리고 배교나 변절 등이다. 성서는 이러한 반응들을 담고 있다. 예수의 십자가 사건의 순간에도 그의 제자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부인하고 사방으로 도망했다. 교회가 순교자의 피 위에 건설되었다고는 하지만, 박해시대의 기독교 선교는 역설적으로 박해로부터 도망친 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성서 속에서 특정한 선교유형을 발견하려는 것이며, 그러한 성서적 근거로부터 일본 식민지 하에 있던 한국의 기독교인의 반응들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신사참배가 모든 한국인들에게 강요되었을 때, 한국 기독교인들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반응했다. 몇몇은 일제의 강요에 저항했으며, 그들 중 몇몇은 자신들의 신앙 때문에 순교를 했다. 소수의 우리는 국외로 망명을 했지만,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일제의 압력에 굴복하여 신사참배에 참여했다. 이 논문은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그들의 반응을 해석하고 박해시대의 특정한 선교유형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throughout the christian history, christians have reacted to the persecution in the various ways: resistance, martyrdom, flight, pilgrimage, seclusion, accommodation, and apostasy or perversion etc. We can read these reactions from the Bible. Even at the moment of the Crucifixion of Jesus, his disciples denied their own identities and flied in all direction. Although it is said that the church has been founded upon the blood of martyrs, christian mission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was paradoxically carried out by those who fled from the persecutor. Therefore this is to find out certain patterns of mission in the Bible, and by this to look into the christian reactions of Ko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When the Shinto shrine rite was forced to all Koreans, Korean christians also have reacted in the various ways. Some resisted to the Japanese forcible demand, and few among them died a martyr for their belief. Some took flight to the outside country, but most of christians yielded under Japanese pressure and participated in the Shinto Shrine rite. This is to interpret their reactions in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and to find out certain patterns of mission in the period of persecution.
목차
초록
1. 서론
2. 성서에 나타난 박해시대의 선교유형
3. 장공 김재준과 신사참배
4. 김재준의 신사참배 행위에 대한 비판적 견해
5.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한국교회의 행동유형
6.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선교신학적 이해
7. 결론
참고문헌
부록 : 신사참배와 관련한 김재준의 대표적인 글 모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