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and Old-Old in Women Living Alone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향수(Hyang-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6권 제1호, 59~7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2017년 <여성 독거노인의 통증, 영양위험, 외로움,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인 일차연구 자료와 추가 수집한 자료 총 85부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은 통증, 규칙적인 운동, 사회적지지 순으로 설명력 70.6%이며 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은 규칙적인 운동, 일상생활수행능력, 통증 순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력은 69.7%로 나타났
다. 따라서 통증 감소를 위한 방안과 사회적지지 체계의 강화, 생활체육 활성화 및 그에 따른 일상생활 수행 유지를 위한 노력 등의 모색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is the study of descriptive research to look into factors which influenc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and old-old in women living alon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primary data from 2017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fe based on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and cognitive health condition in women living alone- and the secondary analysis which additionally collected from total 85 case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using SPSS/W IN 18. program,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followed
by pain, regular exercise, and social support for young-old women living alone and regular exercis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ain for old-old women living alone. The explanatory power was 70.6 percent and 69.7 percent respectively.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eeking ways to alleviate pain, enhance the system of social support, activate daily exercise, and maintain the ability of routine activitie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 과
4. 논 의
5. 결론과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