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rection and task of decentralization policy of curriculum: Focusing on the amendment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민용성(Min, YongS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8호, 737~75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과제로서 관련 법령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현황과 전제 요건을 탐색하는 데 교육과정 시기별로 교육과정 문서상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문재인 정부의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에 대한 경향성을 짚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실효 성을 담보하기 위해 초 중등교육법의 관련 조항들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교육 과정 개발(개정), 교육과정 실행(수업), 교육과정 평가(성과) 측면에서 초 중등교육 법의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실행과 성과 도출을 위해 초 중등교육법 외에도 교육기본법, 교육과정심의회 규정 등 관련 법령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행 재정적 인프라,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간의 행정 운영 연계 등 분권화 추진 전략 로드맵을 구상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s a task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policy to strengthen the autonomy of local and school curriculum. For this end, it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policy and the requirements of the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urriculum autonomy in curriculum document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eriod.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revised draft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revision), curriculum implementation(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result) was derived as to how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should be chang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education curriculum, beside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examine related laws such as the Basic Education Law and the curriculum council regulations. In addition to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and the administrative administration betwee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현황 및 전제 요건
Ⅲ.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실효성 담보를 위한초 중등교육법의 개정 방안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