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ies on the Stability of Natural Pigment Extracted from Ascidian shell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박신호(Sin Ho Park) 양재찬(Jae Chan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유화학회지 제35권 제1호, 292~29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멍게 껍질을 100.0%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후 DMSO로 희석하여 색소안정성을 평가하였다. pH에 따른 흡광도와 색차계 값을 측정한 결과 pH 7.0에서 흡광도와 색도의 ±a값이 가장 안정하게 나타났다. pH 3.0에서 흡광도의 감소가 나타났고 색도의 ±a값이 감소하여 멍게 껍질 색소는 pH가 중성에 가까울수록 변색방지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제 첨가시 색소의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α-tocopherol과 Glutathione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scidian shell pigment was extracted, first using a 100.0% ethanol solvent, proceeding with the dilution of it with DMSO (Dimethyl sulfoxide). The extracted pigment was evaluated to verify the stability. The absorbance of light have been evaluated according to pH levels and using the color-difference meter.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absorbance and chromaticity ±a values were most stable at a pH level of 7.0 By keeping the sample at a pH level of 3.0,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absorbance and the chromaticity ±a values were decreased. Based on this observation, it can be deduced that the discoloration of the pigment can be prevented if kept at a neutral pH level. When antioxidants were added, the absorbance of the pigment increased, and the best effects could be seen in the α-tocopherol and glutathione sample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실험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