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of Korean Diaspora : focused on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선봉규(Sun, Bong-Kyu)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56집, 329~3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을 대상으로 거주국사회에서의 문화변용전략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중국조선족의 최대 집거구인 연길과 재일코리안의 신집거지로 부상하고 있는 도쿄에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 디아스포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중국조선족 172부, 재일코리안 96부 등 총 268부가 회수되어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을 대상으로 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문화변용전략은 통합유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민족 디아스포라들이 민족의 고유문화와 정체성을 계승, 발전시키고 거주국의 문화와 사회적 가치를 수용함으로써 그들과 공생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국조선족보다 재일코리안이 거주국에서 주변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주국의 소수민족 혹은 외국인에 대한 정책과 지배민족의 편견 및 차별적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셋째, 문화변용척도 중 언어구사력 항목에서 중국조선족에 비해 재일코리안의 수준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쿄 거주 재일코리안의 이주가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일본 정부의 차별, 배제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at examining acculturation strategy intended for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which are origin of Korean Diaspora.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er out survey intended for Korean Diaspora in yanji and tokyo where is emerging as new resident area. 172 papers of Korean chinese, 92 papers of Korean japanese are used as analyse material Main result of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acculturation strategy shows that integration type is superior. This menas they take symbiosis strategy as succession, development Korean culture and identity also acception social culture and value where they are in. Second, Korean japanese shows high tendency of marginalisation than Korean chinese. This difference came from minority policy of country or foreign policy and prejudice of major group and discrimination attitude. Third, Korean japanese language ability among the acculturation measure appears law level compared to Korean chinese. This is valued that Korean japanese immigration was performed after 1980th and caused by Japanese government’s discrimination, exclusion policy.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Ⅵ.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의 문화변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