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 vivo diagnostic skin tattoo film sensor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전시현(Si Hyun Jun) 이규한(Lee Gyu Han) 서윤빈(Seo Yun Bin) 이수영(Suw Young Ly) 이경(Kyung Lee) 백정기(Baek Jung Ki)
- 간행물 정보
- 『한국유화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7년 추계학술대회, 46~46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02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체 내 질병 윈인의 당뇨 세균 중금속 등을 진단하기 위한 센서의 연구이다. 세포 손상 없이 피부에서 실시간 진단연구 하였다. 센서는 식물 성유세포와 천연 라텍스와 전해질 등을 사용하였다. 0.2 mm 필름 센서로 피부에 문신으로 도포 하였다. 3 전극 시스템을 연구소에서 제작한 bioelectrochemical-2 에 연결 사용하였다, 피부 방출 신호는 1.0×10⁻³ ~ 1.0×10⁻⁹A 전류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전위는 -2.0 V ~2.0 V 산화 환원 전위를 사용하였다, 검출 전류는 1.0ⅹ10⁻³A 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임상 실험은 손등피부 손목 이마 등에서 측정 하였다. 측정 오차는 5% 이내에서 정밀하게 작동 하였다. 이들 연구 결과는 뇌파 측정 가상 현실 등에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experiment is a study of sensors for diagnosis of diabetes, bacteria, heavy metals, etc and in human body. Therefore, the skin was diagnosed in real time without any damage to the cells. These sensors made by using vegetable oil cells, natural latex and electrolytes. The sensor was made of 0.2 mm film and tattooed on skin cell. A three-electrode system was connected to the bioelectrochemical-2 developed by the laboratory. The skin release signal was measured at a current range of 1.0 × 10⁻³ to10⁻⁹ A. The potential was -2.0 V to 2.0 V. The redox potential was used. At this time, the detection current was sensitive at 1.0 x 10⁻³A. Clin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he back of the hand, wrist, and forehead. The measurement error was precise within 5%.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EEG virtual real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