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ncorporation of bulbil extract of Chinese yam to layered double hydroxide(LDH) :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stability improvement
이용수 2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이상은 남세희 조현대
- 간행물 정보
- 『한국유화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7년 추계학술대회, 14~14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02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일명 ‘마(Dioscorea batatas Dence)의 씨앗’으로 불리는 영여자(Bulbil)는 동의보감에서 햇볕에 말린 산약의 효능보다 더 강하다고 기록될 만큼 다량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진은 영여자의 피부 섬유아세포 콜라겐 합성 증진과 염증억제 효능을 밝혀낸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활성의 추출물은 빛, 열과 산소에 의해 기능성 원재료로서의 생물학적 활성이 심각하게 감소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여자 추출물의 안정화를 위하여 층상구조의 무기화합물인 층상이중수산화물 (layered double hydroxide, LDH)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영여자를 포접하여 그 물리화학적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입자분석 결과 영여자-LDH 캡슐은 평균 370.4 nm의 멀티라멜라(multi-lamellar) 형태를 보였으며, 경피 흡수촉진실험 결과 일반 영여자 추출물 대비 13배 빠른 흡수율을 보였다. 또한 빛과 고온(40℃)에서 보다 개선된 안정적인 방출형태를 보임으로써 커다란 안정성 증진 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콜라겐 생성과 염증억제 효능을 보이는 영여자 추출물을 층상구조의 LDH에 포접하여 멀티라멜라 구조의 보다 개선된 안정성과 흡수율을 지닌 신 안티에이징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