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하(Jung-Ha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3호, 1037~10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고위험약물 지식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부산과 울산의 4개 대학에서 132명의 간호대학생이다. 조사연구가 실시되었고, 자료는 2013년 8월 28일부터 9월 2일까지 수집되었다.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x²-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대부분 중간 수준이었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따른 고위험약물 지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79,
p=.025). 학습계획과 학습실행은 고위험약물 지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0,p=.022; r=.20, p=.022). 그러나, 학습평가와 고위험약물 지식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r=.13, p=.126). 본 연구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고위험약물지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전략이 수립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 in 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were 132 nursing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Pusan and Yansan.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obtained from August 28 to September 2 in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²-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the SPSS 18.0.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most subjects was middle level. According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 was significant difference(F=3.79, p=.025). Learning plan and learning practi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r=.20, p=.022; r=.20, p=.02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evaluation and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r=.13, p=.126). The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 in nursing students should be implem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