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고위험약물 지식의 관계
이용수 299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 i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하(Jung-Ha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3호, 1037~10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15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고위험약물 지식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부산과 울산의 4개 대학에서 132명의 간호대학생이다. 조사연구가 실시되었고, 자료는 2013년 8월 28일부터 9월 2일까지 수집되었다.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x²-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대부분 중간 수준이었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따른 고위험약물 지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79,
p=.025). 학습계획과 학습실행은 고위험약물 지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0,p=.022; r=.20, p=.022). 그러나, 학습평가와 고위험약물 지식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r=.13, p=.126). 본 연구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고위험약물지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전략이 수립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 in nursing students. Participants were 132 nursing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Pusan and Yansan.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obtained from August 28 to September 2 in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²-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the SPSS 18.0.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most subjects was middle level. According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 was significant difference(F=3.79, p=.025). Learning plan and learning practi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r=.20, p=.022; r=.20, p=.02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evaluation and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r=.13, p=.126). The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of high alert medications in nursing students should be implem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및 교수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 중급 단계 유학생의 학문 목적 발표 능력 향상에 대한 제언: 교수자 9인의 쟁점 논의를 기반으로
- 과학 학습에 대한 이해 및 접근법 평가 도구 번역본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 탐색
- 생애목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 드라마(Drama) 활용 초등영어교육의 효과 : 메타분석
-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전교사 교육과정에서의 스키수업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유아교사의 교직윤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예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체육교과 인지영역 검사매체의 재구성 및 문항모수 탐색
- 청년기에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이 개인 및 사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학교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 정도와 특수교사의 셀프리더십 수준 및 관계
- 수가타 미트라의 자기 구조화 학습환경(SOLE) 발전과정 및 인터넷 댓글 분석
- 예비유아교사들의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를 통한 학습공동체인 코호트(cohort) 경험 탐색
- 독일의 승마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의 승마교육 방향 탐색
- 장애와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적 표상 변화: 특수교육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세계 여러 나라」의 비판적 분석
- 스포츠센터의 조직공정성이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요인 타당화 연구
- 남자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 교과교육 학술지 논문의 서론 서술 단계 제안 및 활용 가능성 탐색
- 내용 생성에 초점을 둔 사전 글쓰기 활동이 고등학생 영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불안전 지면을 이용한 기능성 보행운동이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영어 수업연계 평가의 원리와 실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특수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예술강사의 수업경험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 교육의 기회균등 관점에서의 중국 소수민족 대학입시제도 우대정책 발전방안
- 유아기 자녀를 둔 주말부부 아버지의 자녀 양육 경험 탐구
- 교사들의 인지적·비인지적 교사학습을 반영한 세계시민교육 교사연수 모형 개발
- 예비체육교사의 임용시험 준비 경험 연구
- Native English Instructors’ Perspective of English Education Culture in Korea
- 중학교 영어수업에서의 범교과 컨설팅 사례연구
- 자기주도학습의 의미 이해를 통한 실천적 방향 탐색
- 군 복무 후 복학한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교 생활 경험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비판적 사고성향, 안전간호수행능력의 관계
- 영국 통제수행평가 체제 분석 및 적용가능성 탐색
- 대학 신입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의 조절효과
- 대학 수업의 비인지 역량 함양 효과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 청소년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와 스포츠 참여 및 여가 만족, 여가 지속의 구조모형 분석
-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아동의 자기조절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 교수법(마이크로티칭, PBL)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지식과 수학교수효능감 연구
- STEAM 교수 학습 원리를 활용한 진로교육 모형 개발
- 중학생의 수업참여 잠재 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고성능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결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 대학 인성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 연구
- 용도 고안 문항을 활용한 기능적 고착 인지편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고위험약물 지식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