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and industry Countermeasures of Kroea-China FTA in Jeju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 저자명
- 이용완(Lee Yong wan) 김윤정(Kim Yun jeong)
- 간행물 정보
- 『산경논집』산경논집 제34집, 219~2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국문 초록
세계경제와 산업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FTA는 국가 전체에 미치는 영향 뿐만아니라 지역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크다. 제주 역시도 한·중 FTA 체결은 감귤을 중심으로 하는 핵심자원이 양허제외 되었으나, 대응방안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채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는 산업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으며,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 대체 상품의 유입에는 글로벌 경쟁뿐만 아니라 지역내 경쟁에서조차 위치를 점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특히 제주지역 기업은 소규모로 한·중 FTA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매우 약해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 마련과 함께 산업구조의 체질개선이 이루어져야만 FTA를 중심으로 하는 글로벌 경쟁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핵심산업인 농수산업의 친환경 및 유기농 상품화를 통해 프리미엄급 상품을 지향해야 한다. 또한, 지역산업과 관광산업과의 융복합화를 통한 다양한 품목의 개발과 문화컨텐츠를 바탕으로 하는 지식서비스 산업의 육성 등을 통해 한·중 FTA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한·중 FTA 체결의 의의
Ⅲ.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제주지역 영향
Ⅳ. 제주 지역산업의 한·중 FTA 대응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