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Performance on Superordinate Word Tasks in Elderly and Young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형무(Hyung Moo Kim) 윤지혜(Ji Hye Yoo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0권 제4호, 229~24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 40명과 청년층 43명을 대상으로 상위범주어 선택과제를 실시하여 정반응 및 반응시간을 비교하였고, 상위범주어 쓰기과제를 실시하여 정반응 및 오류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위범주어 선택 및 쓰기 과제 모두 노년층은 청년층 보다 정반응수가 더 적었다. 둘째, 노년층은 상위범주어 선택과제에서의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느렸다. 셋째, 상위범주어 쓰기과제의 오류양상에서는 노년층은 무관오류보다 연관 오류를 더 빈번하게 보였다. 노년층이 선택과제와 쓰기과제에서 더 낮은 정반응 수를 보인 결과는 정상적인 노화가 진행되면서 의미어휘사전 내 정보 간의 연결이 약화되거나 활성화가 저하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있다. 반응시간이 긴 이유는 노화에 따른 뇌의 신경생리적 변화와 인지처리 속도 저하에 기인할수 있다. 목표 상위범주어와 연관된 단어를 산출하는 오류를 보인 것은 비록 노년층이 단어를 완벽히 산출할 수는 없을지라도 목표 단어의 어휘집에 접근하여 의미적으로 연관된 단어를 에둘러 산출하고 목표단어가 가지고 있는 특성들에 대해 우회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duct superordinate word selection task to compare their performance and reaction time, and superordinate word writing task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ir performance and error pattern in 40 elderly adults and 43 young adults.
As a result, first, in both tasks, elderly adults had a smaller number of correct responses.
Second, elderly adults showed slower reaction time than young adults. Third, in superordinate word writing task, elderly adults showed more relevant errors than irrelevant errors. The reason elderly adults had a smaller number of correct responses in both tasks was that the links among the pieces of information in the semantic lexicon weakened or deteriorated due to normal aging. Slower reaction time was based on neurophysiological changes of the brain
and cognitive processing speed. In addition, the relevant errors showed that they could access the lexicon for target words and produce explanation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y could not retrieve the target word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