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신승배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7권 제3호, 1~50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를 면밀히 알아보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건강, 사회적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행복감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독립변인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건강, 사회적 지지 요인과 종속변인인 주관적 행복감 수준을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둘째, 각 독립변인별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차이를 t-검증과 F-검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고,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 간 상관관계와 독립변인 간 다중공선성을 진단하였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한국 청소년들은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행복감이 낮고,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행복감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가정형편이 좋은 학생은 행복감이 높은 반면, 학업문제, 가정불화, 또래와의 관계, 미래에 대한 불안 등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학생들은 행복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양호할수록, 부모, 교사, 친구로부터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전략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