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PPITZ-2 Response and Clinical Usefulness of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함현진(Hyun Jin Ham)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285~3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을 분석하여 각 집단의 반응특성과 KOPPITZ-2를 통한 집단의 분류정확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일반아동 46명, 지적장애아동 35명, 영재아동 33명의 총 114명으로, 일반아동은 군집표집 하였고, 지적장애아동과 영재아동은 목적표집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검사자 및 채점자 훈련과 KOPPITZ-2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집단 간 KOPPITZ-2 반응 차이를 분석하였고, 단계적 판별분석을 통해 집단에 대한 분류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OPPITZ-2의 발달지표총점, 정서지표총점, 반응시간은 일반 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KOPPITZ-2는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에 대하여 79.8%의 높은 분류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발달지표총점이 분류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PPITZ-2 response of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to verif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groups through the response nature of each group and KOPPITZ-2.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4 children including 46 ordinary children, 35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33 gifted children. Ordinary children were chosen through cluster sampling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were chosen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examiner and rater training and KOPPITZ-2 test were carried out for the study. The KOPPITZ-2 respons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through the one-way ANOVA an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n the group was verified through th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index total score, emotional index total score of KOPPITZ-2, and reaction time. Second, KOPPITZ-2 showed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79.8% for the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particularly it was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 index total score made a lot of contributions to the classifi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