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Altantsetseg Battulga 홍승재 양대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조직내 종업원들의 사회연결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종업원들이 그들의 동료와 맺는 관계가 긍정적인 감정을 교류하거나 사회적 지지를 포함하는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진행되는 경향들을 보여왔다. 그러나, 종업원들이 맺고 있는 긍정적인 관계라고 하더라도 그 관계 속에 상대방을 향한 부정적이거나 불편한 감정을 포함할 수 있다는 엄연한 사실은 이 같은 가정을 전제로 하여 종업원의 사회연결망 연구를 진행하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게 한다. 본 연구는 사회균형이론 (social exchange theory)와인지부조화이론 (cognitive dissonance theory)에근거하여,종업원이맺고있는긍정적관계로평가되는종업원간의친교관계 (friendship ties) 와조언관계 (advice ties) 에도 관계의 상대방에 관한 종업원의 부정적 감정 (negative affections) 이 내포될 수 있다고 주장하려 한다. 이 같은 주장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부정적 감정을 내포한 친교 관계와 조언 관계를 파악한 후, 이 같은 친교 관계와 조언 관계가 종업원의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흥미로운 결과 두 가지를 얻게 되었다. (1) 사실상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을 항하여 친교 관계나 조언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아질 수록 종업원의 업무 성과는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자신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상대방으로부터 얻는 친교 관계나 조언 관계의 수가 많을수록, 종업원은 오히려 높은 업무 성과를 보이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이 같은 흥미로운 발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우리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학문적 공헌과 함께 종업원의 사회연결망에 관한 연구에 관한 향후의 연구 방향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연구방법 및 분석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