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opics on public game art using Media Facade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김효영(Hyo young Kim) 박진완(Jin Wa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5권 4호, 139~14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국문 초록
대형 미디어 파사드 작업과 게임을 결합한 작품을 만드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지금, 그 주체가 예술가일 때에 고려해야할 다양한 주제들이 있다. 대형 미디어 파사드에서 게임을 주제로 한 예술을 행하고자 하는 예술가들이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 즉 공공성, 게임성, 관람객의 특성, 공간성 등에 대해 세밀하게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대형 미디어 파사드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게임이 특성이 대형 스크린 공공예술에서 미치는 영향과 작가 중심적인 사고가 미디어 파사드 작업과 게임의 융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관중을 배려하고 효율적인 목적 달성에 이르는 작품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oday, we can easily find game arts on media facade using a huge screen. There are many issues media artists should consider, such as publicity, theory of games,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spatiality, and etc. We will examine the impact of media facade work on the convergence of games and game characteristics with large-screen public art. This research and review will contribute for artists to make a large screen based media facade game that attract public efficiently.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공공예술과 인터랙티브 게임
Ⅳ. 미디어 파사드 게임의 이슈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