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outine Experience Welfare Level Based on Mobile Telecommunication Usage -Mainly on the application of the Diary Survey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신범순(Shin Beum S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10호, 73~8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신기기 사용상황(T.P.O)에 따라 일상경험 웰빙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신기기 사용상황을 통신기기 이용시간대, 통신기기 사용기능, 이용대상, 이용용도, 이용공간, 주위사람 유무, 이용상황 만족도로 구분하여 일상경험의 삶의 질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이동통신 이용에 초점을 두어 주관적 평가 및 심리적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다이어리서베이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부터 통신기기는 단순한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니라 개개인의 삶을 관리하는 개체로서 인식되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면하지 않은 가운데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타인에게 충고를 얻거나 도움을 구하고 마음의 위로를 받고 싶을 때 그리고 통신기기를 이용해 따분한 시간을 보내거나 재미를 얻음으로써 행복감을 얻고 있다. 이처럼 통신기기는 일상 경험에서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필수품으로 역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examine whether the status of telecommunication equipment (T.P.O) affects the routine welfare or not. In order to determine this issue, I verified the quality of living based on the time period for which telecommunication equipment is used, its functions in use, targets for use, purpose and place of use, people in company, satisfaction level, etc. I used the diary survey methodology with emphasis on the usag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o examine the personal assessment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leve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telecommunication equipment is not mere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 media for managing individuals' lives. Also, may people have derived enjoyment and happiness by receiving advice from others, seeking help and encouragement in a social network without a face-to-face contact. From this fact, we understand that the telecommunication equipment is considered as a necessity that contributes to the quality of life in our routine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