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tilizing Computer Games To Improve Academic Learn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박진숙(Jin Suk Park) 정현진(Hyun Jin Jung) 박종승(Jong Se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14호, 71~8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국문 초록
컴퓨터의 대중화와 더불어 컴퓨터게임은 하나의 문화적 일부가 되었다. 이전의 게임에 대한 연구들은 게임의 중독성과 폭력성, 신체적 유해성 등 게임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올바른 게임 방법을 제시한다. 초등학생과 고등학생들의 게임 이용 실태 조사를 통해 게임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올바른 이용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게임 시간과 게임 빈도는 학업 성적과 큰 상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경우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롤플레잉 게임, 스포츠 게임이, 고등학생의 경우 아케이드 게임과 롤플레잉 게임이 각 과목에 도움이 되며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의 성적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컴퓨터게임 이용시간은 초등학생의 경우는 30분에서 한 시간 미만이고, 고등학생의 경우는 30분에서 두 시간 미만으로 추정되었다. 장시간의 게임플레이는 학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위험요소가 있다. 본 연구에서 결과로부터 학생의 개인적인 학업 능력에 적합한 게임의 적절한 선택, 게임 플레이 시간의 조절, 게임 빈도의 조절을 통해서 학습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Nowadays, computer game playing has become a part of popular culture. Previous computer game related works have been focused on negative effects of game playing such as addiction, violence, and physical harmfulness.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merits of game playing in the academic learning. Game playing attitudes and course grades both for primary school pupils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been analyzed to achieve positive effects of game playing for the school learning. Our research showed that, though both the game playing time and the playing frequency are not strongly correlated to academic grades, the computer game can help students to increase their learning ability. Primary school children with excellent grades are inclined to play strategic simulation games, role-playing games, and sports games. High school students with excellent grades are inclined to play arcade games and role-playing games. The most effective game playing time is approximately from 30 minutes to one hours per day for primary school children and from 30 minutes to two hours per day for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students can improve learning ability with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games and proper playing frequency and duration for a play.
목차
Ⅰ. 서 론
Ⅱ. 학업성취도 향상과 컴퓨터게임
Ⅲ.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