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of Job Adjustment of Injured Workers Returned Workplace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임정연(Lim Jung yon) 이영민(Lee Young mi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7권 제1호, 531~56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산재보험패널 1~2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산재근로자의 개인심리적 지원, 조직사회적 지원, 업무환경적 지원변수가 직장적
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심리적 지원변수인 자아존중감은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사회적 지원변수 중 동료들과의 관계와 동료들의 배려는 산재근
로자의 직장적응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복귀한 업무의 수준과 내용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거나 많은 지식과 기술이 요구될 경우, 원직복귀자의 직장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의 수준과 산재근로자가 지닌
기술수준이 적합하면 원직복귀자의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과 직무몰입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지원정책과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job adjustment. We conduc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The results are follow. first, self-esteem influence the job adjustment of injured workers. Second, the organization support variables als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job adjustment of the injured workers. Third, If the job is more complex, injured workers have difficulty adjustment to the work. Finally, If the level of employee skills and levels of the job are suitable, the workers are absorbed in his du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 to a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1.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와 영향요인
2. 근로자의 직장적응과 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자료 및 변수설정
3. 연구대상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특징분석
2.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 현황분석
3. 원직복귀 산재근로자의 직장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