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Task Manualization o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이은희 최희원 문철우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305~3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무 매뉴얼화와 조직학습역량의 영향 관계 및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관련연구 및 직무 매뉴얼의 실무적 적용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Nonaka & Takeuchi(1995)가 제시한 SECI 모델과 Quinn & McGrath(1985)가 제시한 경쟁가치 모형의 개념적 이론을 원용하였으며 직무 매뉴얼화를 통해 조직학습역량이 강화될 것이며 조직문화가 그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전제 하에, 직무 매뉴얼화를 도입한 국내 기업 및 기관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주효과 및 조절효과를 측정하는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 매뉴얼화의 변인인 표준화시스템과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학습역량의 변인인 시스템 지향성, 학습 분위기 지향성, 지식 습득과 활용 지향성, 정보공유와 확산 지향성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지지되었으나 조절 효과 부분에서는 일부 가설만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조직문화의 변인 중집단문화와 위계문화, 합리문화는 각각의 관계 특성에 따라 정적 관계와 부적 관계의 영향을 모두 보이며, 혁신문화는 부적 관계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조직의 구성원이 직무에 대하여 매뉴얼을 보유하고 활용할수록 조직의 학습역량은 강화됨을 의미하며 집단문화, 합리문화, 위계문화 내에서
표준화 도구로 활용 시 일부 효과적 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달리 혁신문화 내에서의 직무 매뉴얼화는 오히려 조직학습역량 강화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 매뉴얼화가 조직학습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실증하고,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측정 분석을 통하여 조직학습역량에 대한 직무 매뉴얼의 도입은 조직문화적 접근과 해석이 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측정 변수 및 측정 도구의 표준화에 대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rough actual proof analysis about whether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manualiz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exists. This research aims on offering implications for companies and institutions that are trying to implement related research or apply task manualization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would be intensified through task manualization in organizations. And under the premise that organization culture will appear followed by types, we have conducted research targeting 411 members of companies and institutions that have adopted task manualization in Korea, and the
main analysis result from this research is as it follows.
Firstly, task manualization is verified that affects attentively to organization learning capability. That is, task manualization, an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composed of standardization system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proved that affects attentively about organizational study capability which is composed of four variables (systems orientation, study atmosphere orientation, knowledge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rient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dissemination orientation).
Secondly, in relationship between task manualization and organization study capability, it is confirmed that three variables except innovative culture which are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influence only on system directivity among organization study capabilities’ four composing factors through verification of organization culture’s regulation effect.
Research result such as this, it shows that task manualiz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main tool in intensifying organization study capability, and it also shows that the introduction of task manual about organization study capability makes organization-cultural approach and interpretation possibl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실증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