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s a Machiavellian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less effective in promoting an employee’s voice? The moderating role of the employee’s power distance orientation
이용수 29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곽원준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49~1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선 상사의 마키아벨리즘 성향이 더 높은 경우에, 이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오히려 더 강해질 수 있음을 조사하였다. 마키아벨리즘이 높은 개인이 거짓말과 연기에 능숙하고 자신의 이미지를 바람직하게 설정하고 인식시키는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마키아벨리즘이 높은 상사가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면 부하직원은 상사를 위선적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윤리적 리더로서 인식하게 되며 윤리적 리더십의 바람직한 결과인 발언행
동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다음으로, 부하직원의 권력거리 성향이 높을수록 상사의 말과 행동에 더 복종하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높은 권력거리 성향을 가진 부하직원은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에 더 큰영향을 받고 이러한 상사의 말과 행동을 사회적 학습과정을 통하여 배우고 모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부하직원의 권력거리 성향이 높을수록,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발언행동에 더욱 강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마키아벨리즘 성향과 부하직원의 권력거리 성향을 함께 고려하여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예상하였다. 높은 권력거리 성향을 가진 부하직원은 상사에게 더욱 복종적이고 허용적이므로, 마키아벨리언 성향을 더 많이 가진 상사의 아래에서는 그상사를 더욱 윤리적 리더로서 인식하며 결과적으로 발언행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낮은 권력거리 성향은 가진 부하직원은 상사에게 비판적으로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는 경
향이 있으므로, 마키아벨리언 성향을 더 많이 가진 상사의 아래에서는 그 상사를 더 위선적으로 인식하게 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더욱 적은 발언행동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252명의 한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대부분 예상과 일치하였으나, 높은권력거리 성향을 가진 부하직원의 경우에 상사의 마키아벨리언 성향이 그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를 조절하였으나, 낮은 권력거리 성향을 가진 부하직원의 경우에는 예상과 달리 마키아벨리던 성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께 향후 연구과제와 함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Researchers have found that a Machiavellian supervisor’s ethical leader behaviors were perceived to be not genuine by a subordinate employee and not effective in facilitate personal initiatives in a workplace. This research replicated this past finding and obtained an opposite finding: A Machiavellian supervisor’s ethical leader behaviors were perceived to be genuine by a subordinate employee and successfully promoted this employee’s voice behavior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type of personal initiative behaviors. Further,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is effect
of a Machiavellian supervisor’s ethical leadership on employee voice was intensified in a particular organizational context of employee power distance orientation.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were discussed along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y and Hypothesis Development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