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현성은 문계완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315~34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장-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이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직접적인 관계를 검증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자원보존이론(COR)과 직무요구-자원 모형(JD-R)을 기반으로 하여, 감정적 소모(emotional exhaustion)를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열의의 연결고리로, 직장-가정 갈등이 야기할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실증연구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 내에서 긍정심리자본(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이 직장-가정갈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인 효과를 얼마나 완화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고, 긍정심리자본의 정도가
직장-가정 갈등과 감정적 소모에 의해 매개되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하는 매개된 조절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국내 일반직에 종사하는 직장인 38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열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소모는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열의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직장-가정 갈등과 감정적 소모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된 조절효과의 통합적인 검증을 통해서 긍정심리자본이 직장-가정 갈등, 감정적 소모,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완화함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직장-가정 갈등의 연구 및 관리에 미치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