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정준수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3호, 51~8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노동시장의 불안정성과 장애인 차별로 인해 나타나는 취업 장애인의 실업문제를 예방하고자 취업 장애인이 실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3차 조사부터 9차 조사까지의 종단자료를 결합하여 생명표분석과 콕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이혼ㆍ사별ㆍ별거보다, 비가구주가가구주보다, 저소득층가구가 일반가구보다, 서울이 군지역보다 실업 가능성이 높았다. 건강관련특성인 장애유형, 만성질환 유무, 근로능력정도는 실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관련 특성에서는 유해환경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취업시 차별을 받지 않은 경우가 받은 경우보다, 소득(임금) 차별을 받지 않은 경우가 받은 경우보다, 동료관계 차별을 받은 경우가 받지 않은 경우나 비해당자보다 실업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 장애인의 실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째 취업 장애인의 소득증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고, 둘째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의 실업대책이 마련되어야하며, 셋째 장애인이 유해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안전한 근무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고, 넷째장애인이 직장 내 동료관계에서 차별받지 않고 일할 수 있도록 차별예방체계를 구축할 필요가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a process of working disabled people moving towards the state of unemployment in order to prevent their unemployment issues caused by the instable South Korean labor market and discriminations against the disabled. The study thus conducted life table method and Cox regression analysis by putting together the longitudinal data from Korea Welfare Panel Study 3 to 9.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udy carried out that the unemployment possibility was higher among those who had a spouse than those who got divorced or lost a spouse, among the non-householders than the householders, among the low-income families than the general families, and in Seoul than in gun areas. Such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s types of disability, chronic diseases, and the degree of work competence had no impact on
unemployment possibility. As for job-related characteristics, unemployment possibility was higher when they had an experience of working in a harmful environment than when they had no such experiences, when they received no discriminations finding a job than when they received such discriminations, when they received no income(salary) discriminations than when they received such discriminations, and when they received discriminations regarding
peer relationships than when they received no such discrimination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measures to prevent the unemployment of working disabled people: first, the income increase for the disabled must be in progress; second, region-wise unemployment countermeasures, tak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must be prepared; third, a safe working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must be provided; lastly, discrimination prevention system must be established to
protect them from the prejudicial bias from the co-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