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mpetitiveness and Effect Analysis for Developing a Port Specialized in Northern Sea Route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박진희 이민규 Jin-Hee Park Min-Gy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39권 제3호, 241~252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최근 북극의 해빙이 가속화되면서 북극의 자원개발과 함께 북극항로를 통한 에너지 자원과 화물수송이 가능해 졌다. 이로 인해 북극 연안국들을 중심으로 북극해를 선점하기 위한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북극항로 개설에 따른 화물수요와 관련 인프라를 선점하 기 위해 각 지자체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 지자체 간 과도한 경쟁은 국가 항만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과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만 간 경쟁력분석을 바탕으로 북극항로에 특성화된 전진기지를 구축하 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항만은 각 권역을 대표하는 무역항으로 선정하였으며, 문헌 및 통계 자료 검토, 설문조사를 통해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북극항로 상에서 부산항, 여수·광양항, 울산항, 인천항 순으로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이와 함께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검토하여 다양한 해양산업과 연계하는 부산 전진기지 특화형, 북극자원과 석유화학클러스터 를 활용한 울산 전진기지 특화형, 그리고 항만 기능을 분담하여 협력하는 혼합형을 가능한 시나리오로 설정하고, 그 추진방향을 개략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It became possible to transport freights and energy resources via Northern Sea Route(NSR) as global warming has been accelerated. As a result, all countries of the world and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had a struggle to take the advantageous position first in NSR development. However, this extreme competitions migh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national port industry and cause unnecessary social costs and economic losses. Therefore,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suitable port for NSR using AHP analysis. Most of the data was gained from previous literatures and public statistics and the weight of each factor was calculated by the result of expert survey. As a result, Busan port has the biggest competitiveness, followed by Yeosu·Gwangyang, Ulsan and Incheon. From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ed 3 possible scenarios. The first scenario specializing Busan port in NSR focuses more on developing the related businesses such as repair of ships, refueling, ship stores trade than attracting the more cargoes. the second is a strategy to make Ulsan port as a hub for energy resources, especially liquid cargo on NSR. the last is a mixed one to assign suitable roles to the ports according to their competitive capabilities.
목차
1. 서 론
2. 북극항로 수송환경 및 예상 취급화물
3. 국내 무역항의 경쟁력 분석
4. 가능 시나리오별 전략
5 결론 및 한계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