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oderating Rol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Drinking Behavior among People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윤명숙(Yoon Myeong Sook) 이희정(Lee Hee Jung)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1호, 211~233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들이 경험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두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차별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내에 거주하는 중도장애인 1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43.1%가 PTSD 집단에 속하였으며, PTSD 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 음주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특성(장애등급, 장애발생연령)에 따라 차별경험과 음주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중도장애인의 PTSD와 음주행위를 살펴본 결과 남성, 연령이 낮을수록, 무교, 기혼인 중도장애인의 음주행위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PTSD 수준이 증가할수록 음주행위의 수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도장애인이 인지한 차별경험은 PTSD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차별을 더 많이 경험하는 집단은 PTSD 수준에 따른 음주행위 수준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도장애인의 정신건강증진과 음주문제 개입을 위한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role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drinking behavior among people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79 people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y in Jeollabuk 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 -test,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slop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3.1% of subjects showed PTSD and this PTSD group showed more drinking behavior than non-PTSD group. Second, disability conditions(disability onset, disability rate) had impact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drinking behavior. Third, male, no-religion, married, more younger group showed more drinking behavior. Fourth, PTS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rinking behavior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moderated between PTSD and drinking behavior.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care program and mental health program in disability settings. Suggestions of disability social work were discussed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목차
논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