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Level and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대규(Kim Dae Gyu) 신동환(Shin Dong Hwa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1호, 151~172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제5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에 참여한 장애인 총 4,297명 중 1,03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여 다양한 요인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삶의 질에 직ㆍ간접적으로 양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적 지위는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는 건강수준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건강수준과 자아존중감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수준과 자아존중감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level and self-esteem. For this study, date were drawn from the 'Fifth Disabled Employment Panel Survey' conducted in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nd 1031 people among 4297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analyze a variety of factors influenc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paths. Consequentl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ocio-economic status have a direct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addition,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quality of life.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목차
논문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