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SNS Use Experience on SNS Avoidance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왕설(Wang Xue) 박선희(Park Sun hee)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3호, 265~2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1.30
국문 초록
이 논문은 SNS 회피가 SNS 이용경험에서 유래한다고 보고, SNS 이용경험을 이용정도, 이용유형, 중단경험의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SNS 피로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S 이용시간은 인지적 회피와 사교적 회피, SNS 이용기간은 사교적 회피와 기계적 회피, SNS 의존도는 인지적 회피 및 기계적 회피와 부적 관계로 나타났으며, SNS 피로감은 이용시간 및 이용기간의 영향력을 매개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었다. 다음으로 SNS 이용유형에 따라 SNS 회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SNS 사교적 이용은 사교적 회피 및 기계적 회피와 부적 관계를, 자기표현적 이용은 사교적 회피와 정적 관계를, 오락적 이용은 인지적 회피 및 기계적 회피와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SNS 피로감은 사교적 이용 및 오락적 이용의 영향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SNS 중단경험은 세 가지 회피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이용중단이후 다시 SNS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그 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NS 회피가 SNS 이용경험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SNS 피로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SNS avoidance based on SNS user experiences,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degree of SNS use, SNS use patterns, and SNS use discontinuance. It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NS fatigue on SNS avoid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time of SNS use with cognitive avoidance, and with social avoidance; period of SNS use with mechanical avoidance; SNS dependency with cognitive avoidance and mechanical avoidance are negatively correlated. Furthermore, SNS fatigue has the mediated effect of what time and how long SNS is used. Secondly, SNS avoidance is affected by SNS use patterns, shown by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SNS for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avoidance as well as mechanical avoidance. SNS use for self-expression a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voidance, entertainment use with cognitive avoidance and mechanical avoidance. Moreover, SNS fatigue mediates the effect of social use and entertainment use of SNS. Lastly, SNS use discontinuance has an important effect on SNS avoidance; especially, the users who discontinued SNS and don't use it anymor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NS avoidanc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for SNS avoidance were also discussed.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SNS 회피와 SNS 피로감의 개념화
Ⅲ. SNS 이용경험과 SNS 회피 및 SNS 피로감의 관계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