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교회

이용수 579

영문명
The Church from a Missional Church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선교신학회
저자명
최동규(Dongkyu Choi)
간행물 정보
『선교신학』제36집, 327~353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기독교 신앙이 사사화되고 공적 영역에서 기독교 진리의 우위성이 상실된 현실에서 교회의 선교적 본질에 초점을 맞춘 선교적 교회론의 등장은 기존의 기독교 세계에 큰 도전이 되고 있다. 선교적 교회론은 근본적으로 교회의 본질로부터 사역을 이해하고 조직을 구축하려는 논리적 순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본 논문은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교회론의 여섯 가지 주요주제를 다룬다. (1)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주권적 선교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교회는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소유이며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성취하기 위해 존재한다. (2) 성서에 제시된 에클레시아의 관점에서 볼 때 교회는 하나님께로부터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의 공동체를 가리키기 때문에 결코 건물, 제도, 조직 구조, 성직자, 모델, 프로그램과 동일시될 수 없다. 교회는 근본적으로 하나님의 선교적 백성 곧 부르심을 받고 보내심을 받은 '사람들' 자체를 가리킨다. (3) 선교적 교회는 모이는 교회일 뿐만 아니라 흩어지는 교회로서 공동체에 속한 구성원들의 삶의 현장에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신자들은 모이는 공간을 떠나 자신의 삶의 현장으로 흩어져 하나님의 통치를 증언하는 선교적 백성으로 살아간다. (4) 선교적 교회는 지역교회로서 자신들이 처한 지역 사회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고유한 삶의 양식을 창조해 나간다. (5) 선교적 교회는 거룩성을 지닌 공동체이지만 세상으로부터 분리된 공동체가 아니라 오히려 성육신의 원리를 따라 세상 안으로 들어가 하나님 나라의 진리와 능력을 드러내고 세상 문화를 변혁할 대안 공동체로 살아간다. (6) 유기체적 공동체로서 선교적 교회는 생명을 간직하고 향유하며 나눠주는 사역을 한다. 이 사역은 분립과 후원에 의한 교회개척을 중요하게 여긴다.

영문 초록

In today's privatization of the Christian truth, and the loss of superiority of the Christian faith, the emergence of missional ecclesiology is ever more becoming a challenge to the existing Christian world. Missional ecclesiology follows the logical sequence that the church's ministry stems from its essence and organized according to its ministry. This paper deals with six main themes of ecclesiology from a missional church perspective: (1) The church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triune perspective of God's sovereign mission. It belongs to God and exists to fulfill God's plan of salvation; (2) According to the ecclesia of the Bible, the church points to the community of people called by God. Thus, it should never be identified with anything else, such as its building, system,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clergy, model, and program. It originally points to God's missionary people, those called and sent by God; (3) The missional church exists not only in its gathering but also in the scattering of its believers through stern realities of life. They leave their gathering places to live out witnessing God's reign as His missionary people; (4) The missional church in local setting creates unique lifestyles for sake of God's mission; (5) Though the missional church seeks holiness,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world but rather goes into the worl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carnation to reveal the truth and power of God's kingdom and lives in alternative communities to change secular cultures; and (6) As an organic community, the missional church enjoys, and shares life, specially emphasizing church planting ministries, including hiving off and support.

목차

한글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선교적 관점에서 본 교회론의 주요 주제들
Ⅲ. 나가는 글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동규(Dongkyu Choi). (2014).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교회. 선교신학, 36 , 327-353

MLA

최동규(Dongkyu Choi).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교회." 선교신학, 36.(2014): 327-35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