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and Development for Disabled Buggy Design Concerned about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오도영(Oh, Do Young) 공진용(Kong, Jin Yong) 안나연(An, Na Yeo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8권 제3호, 271~292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체 및 뇌병변 장애아동의 성장 단계 및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새로운 개념의 맞춤형(또는 사용자 중심의) 유모차 디자인 및 설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국내 장애아동 및 보호자의 경우 국내 제품의 부재로 인해 대부분 고가의 해외 제품을 구입하고 있는 현실을 국산화를 통해 극복하고 나아가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는 기반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초점을 맞춘 것은 장애아동용 유모차를 디자인하기 위하여 장애아동의 신체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기 위한 착석 및 자세유지 기능에 대한 고려와 안전성과 편의성을 적용하여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자 설문조사와 1:1 사용자 심층면접, 전문가 자문 평가, 국외 장애인용 유모차 제품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컨셉 및 스케치, 그래픽 목업 제작에 이르는 디자인 전 과정을 진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r the proposal of customized(user-centered)design for brand-new buggy which considers children'body with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growing up. In case of domestic, we have to depend on buying buggy for the children who have disability from oversea because we don't have our own thing, so it is the effort for overcoming the situation we are faced with, furthermore for making a basis of export to other country. The point of this study is giving to the buggy a safety and convenience concerned about children'body who have disability, also very fancy design to for getting rid of stigma that it is just for disabled. We analyzed a hundred customers' tendency, and bought and studied other products which are from other countries and domestic, also proceeded whole process such as design concept, mock up, and etc by being helped by other cooperation and groups of consumer.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장애아동용 유모차 디자인 개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