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Special Education Worker Job Ambience and Burnout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우호(Kim, Woo Ho)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8권 제3호, 171~191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특수학교, 특수학급, 일반학급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육실무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PC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및 T-검정,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실무원들은 대부분이 자녀양육이나 부모부양의 다양한 경험활동이 있는 기혼여성에게 유리한 직업으로 연령, 결혼, 학력, 근무기간, 근무지와 상호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직무환경의 하위변인에서 소진의 하위변인인 감정적 고갈, 비인격화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감 저하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특수교육실무원들의 직무환경을 높이고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후속연구의 방향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on 150 special education worker at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and regular classe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ambience on burnout of workers in special education worker.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WIN 12.0 program by conducting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es, married women with various experiences of child rearing or caring for elderly parents were found to be more favorable in providing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worker showed correlations with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duration and place of work. Among the sub-variables of work environment,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the sub-variables of burnou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other hand, those sub-variables had a negative impact on job achievement.
Based on the findings,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needs to be continuously discussed to improve work environment and prevent job burnout in special education worker.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