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and organizational inauthenticity on employees' knowledge sharing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재철(Jae-cheol Kim) 김하연(Hayeon Kim) 강대석(Dae-seok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15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각된 업무상 위험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일종인 조직내 가식(organizational inauthenticity)의 매개역할을 검토하고자 했다. 관련문헌들을 바탕으로 부분매개 가설이 설정됐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수도권 소재 철도운영기업들에서 차량정비나 선로보수와 같은 협업이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276명의 현장직원들이었다. 구조방정식 모형들을 분석한 결과, 지각된 업무상 위험과 조직내 가식은 강한 긍정적인 상관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지식공유에 대해서 완전매개를 입증했다. 즉 지식공유와 관련하여 개인들이 지각하는 업무상 위험은 조직내 가식을 통한 간접효과만을 나타냈다. 업무상 위험의 지각은 감정노동의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개인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과 팀 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s and knowledge shar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nauthenticity (a kind of emotional labor). Based on the literature partial mediating hypothesis was set.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276 blue collar employees from railroad operating companies from metropolitan cities, where work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departments (such as vehicle maintenance and track maintenance, materials) were essential. The finding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how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risk and organizational inauthenticity and proves full mediating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is means perceived risk has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rough organizational inauthenticity. Perceived risk is not only an important antecedent factor of emotional labor but also effects on th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eam interactions.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가설 개발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