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flexible scheduling arrangement program demands and its related work-family spillovers on women managers'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현동(Hyond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14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국문 초록
유연근무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대부분 종단적 연구여서 인과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 연구는 여성 관리자의 유연근무제의 수요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2년의 시점차이를 두고 검증해 보았다. 여성 관리자의 유연근무제 수요가 높으면 직무만족도는 낮아진다. 직장-가정생활의 부정적 가정-직장생활의 긍정적 전이에 따라 유연근무제의 수요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달라진다. 현 연구의 결과는 직장-가정생활의 균형이 여성 관리자에게 중요함을 입증하였다. 여성 관리자의 경력을 개발하려면 한국회사는 유연근무제를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노력을 기울어야겠다.
영문 초록
While large amount of work-family literatures has been generated, most work-family studies have adopted cross-sectional design, which raises concerns about causal relation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flexible scheduling arrangement program demands and job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with two-year time difference. Flexible scheduling arrangement program demands a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and positive family-work spillover make changes the relations between flexible scheduling arrangement demands and job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lexible scheduling arrangement demands in job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Korean companies must make efforts to design and establish flexible scheduling arrangement programs to provide career support for women manag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