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모델과 연구 문제점에 대한 고찰: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조성재(Jo, Sung Jae) 김민(Kim, Mi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7권 제3호, 119~1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국문 초록
직업의 유지와 획득은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한편, 근로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 및 질병은 직업의 안정적 영위를 통해 가족의 부양과 자아실현을 추구하려는 수많은 근로자에게 심각한 심리적·정서적·경제적 어려움을 가져다 준다. 근로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와 질병은 또한 국가와 사회에 생산력 손실과 재정 부담 증가 등과 같은 문제를 가져다 준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자들이 재해 근로자의 직업복귀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중재 전략을 개발·적용하는 연구를 시행했다. 비록 이 같은 노력이 상당한 정도의 성과를 거두기는 하였지만, 연구 과정에서 야기된 몇 가지 문제들로 인해 현재까지 개발된 직업복귀 촉진 중재 프로그램들은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율 향상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를 다룬 주요 모델의 내용과 문제점을 고찰하고 직업복귀 관련 연구에서 제기되고 있는 주요 문제점과 이의 개선에 필요한 제언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영문 초록
Throughout history, obtaining a job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human life. Although work helps humans to be integrated in society, workplace injuries cause many problems. Work-related injuries result in medical, vocational, and social problems that contribute to work absenteeism, workplace inefficiency, and economic difficulties. In order to help injured workers to go back to work, researchers have developed Return-To-Work(RTW) interventions based on diverse models. However, because of some problems of RTW studies, RTW interventions have low effectiveness, resulting in stagnance of the RTW rate. Therefor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current RTW models and to discuss major problems that current RTW studies demonstrat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RTW study are presented.
목차
논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Major Models Explaining RTW
Ⅲ. Major Issues on RTW Research
Ⅳ. Conclusion
Reference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