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Ambilaterality Expressed in Kim Mal-bong’s Novel, 『Flower and Snake』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산향(Park, San-hya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4권 제1호, 95~11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국문 초록
신문이나 잡지에 소설을 연재하면서 ‘대중소설가’임을 자처했던 김말봉의 『꽃과 뱀』은 남녀의 애정문제를 소재로 종교적인 색채와 판타지적 요소를 함께 보여주는 소설이다. 지금까지 김말봉 문학연구는 『찔레꽃』에 집중되어 있었고, 통속성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문학연구 범위의 확대와 다양화를 위해 『꽃과 뱀』을 텍스트로 하였다. 특히 본고는 대중소설과 본격소설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 그의 소설이 가지고 있는 양면성에 집중해서 고찰하였다. 김말봉은 이 소설에서 대중성과 예술성, 욕망의 세계와 종교의 세계, 현실과 판타지 등의 양면성을 그려내고, 독자의 흥미와 정서에 부합하는 이야기와 구성으로 인기 소설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Flower and Snake』 of Kim Mal-bong, who posed as ‘a public novelist’ while publishing novels in installments in a newspaper or a magazine, is a novel that shows both a religious tinge and a fantasy element with a material of man and woman’s love. So far, studies of Kim Mal-bong’s literature have been made with a focus on 『Wild Rose』 and they couldn’t get out of a popular vein. Therefore, 『Flower and Snake』 was selected to expand and diversify the scope of the literature studies. Especially, this dissertation was studied with a focus on ambilaterality expressed in his novel, getting out of dichotomical thought as a popular novel and a serious novel. Kim Mal-bong described the ambilaterality in this novel: popularity and artistry, a world of desire and a world of religion, reality and fantasy, and so on. Moreover, he was showed as a popular novelist by constructing the story consistent with reader’s interest and emotions.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꽃과 뱀』의 양면성
Ⅲ.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