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alculation of the wave height distribution using the observed date of Typoon 'Maemi'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김강민(Kang-Min Kim) 김종훈(Jong-hun Kim) 유하상(Ha-Sang Ryu) 정원무(Weon-Mu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07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제1권), 163~16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국문 초록
해안 및 항만구조물의 설계시 사용되는 천해역에서의 파랑장 계산은 내륙 관측소의 바람장을 이용하거나 심해파 파랑 추산모델에 의한 파랑제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내륙에 위치한 관측소의 위치에 따른 각종 보정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바람장에 의한 해상품 자료를 추출하기란 어렵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아주 넓은 영역에서 큰 격자크기로 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안 및 천해역 지형을 상세히 재현하지 못하므로 임의의 정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기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남부 해역의 태풍 ‘매미’ 내습시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천해역에서의 파랑장 계산을 수행하였다. 또한, 계산된 파랑장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울산해역 인근의 파고 및 파향 관측결과를 비교ㆍ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Calculation of wave field on design of coastal and port structure put to use generally the wind field of inland observatory or wave materials of deep water wave transformation model. But in case of the former, But in case of the former, owing to the revision for the inland location, it's difficult to extract exact sea wave materials from wind field. Also, in the other case, because of the calculation which executed under very large grid sizes in the wide domain, the simulation(wave transformation) implied uncertainty in the near shore area and shallow region. So it's hard to obtain exact data from the simulation. Thus,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of wave field on shallow water is accomplished using the observed data of typhoon 'Maemi' in the Korea Eastern South sea. Moreover, for the accuracy of the calculated wave field, we compared and studied the observed data of wave height and direction on the vicinity of the Ulsan water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태풍 ‘매미’ 파랑실험
3.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