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resent Condi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Domestic Marina Club to Design Leisure Floating Architecture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박성신(Sungsine Pak)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36권 제3호, 253~25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국문 초록
마리나클럽을 중심으로 한 마리나는 앞으로 예상되는 해양관광 및 해양레포츠 수요에 대비한 필수적인 시설이다. 국내 여건을 반영하여 마리나와 마리나클럽은 요트수용 대수를 기준으로 한 규모와 프로그램에 따라 레포츠소형, 복합소형, 레포츠중형, 복합중형, 레포츠대형, 복합대형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울마리나, 아라마리나, 전곡마리나 등 3개의 국내 마리나클럽을 분석한 결과 마리나전용 시설과 상업시설의 공간 비율은 평균 21% : 79% 로 나타났다. 단기적으로는 현재의 공간 구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복합형 마리나클럽 계획이 우선 시 될 것으로 예상되며, 장기적으로는 마리나전용시설 비율이 높은 레포츠형 마리나클럽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플로팅 마리나클럽은 해양관광 및 해양레포츠 체험을 극대화하는 친수공간 확보에 매우 유리하다.
영문 초록
Marina and marina clubs are the essential structures to meet increasing marin tourism and marin leisure sports demand.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marina and marina clubs are divided into 6 types such as small sports type, small complex type, midium sports type, midium complex type, large sports type, large complex type. As a result of analysis of domestic three marina clubs, averagely marina facilities take 21% and commercial facilities take 79% of total space. In the short term, marina club should be designed focusing on complex program. Marina club will be for long-term transformed into marin leisure sports program. Additionally, it is certain that floating marina club is an architecture to have water-friendly space and to maximize marin tourism and marin leisure spor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마리나의 개념 및 개발방향
3. 국내 마리나클럽 유형과 현황
4. 마리나클럽의 공간구성
5. 결 론
후 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