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잉머신(rowing machine)과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수행에 따른 비만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Ghrelin농도 분석
이용수 371
- 영문명
-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and Ghrelin Concentration of Obese Mentally Weak Children according to Exercise Execution of Rowing Machine and Treadmill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박기용(Park Ki Yong) 김한철(Kim Han Cheol) 김영빈(Kim Young Been) 이영애(Lee Young Ae) 정연택(Jeong Yeon Taek) 김동원(Kim Dong Wo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225~2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2주간 방과 후 적정 운동강도를 설정하여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과 근력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 형태의 로잉머신과 트레드밀 운동을 통해 비만 지적장애아동들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그렐린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트레이닝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A시에 소재한 특수교육기관인 B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이고 지적장애 학생 20명(로잉머신 집단 10명, 트레드밀 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간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그렐린의 변화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집단별에 따른 운동기간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적 이원변량분석(2×3 two way ANOVA with repeated)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사후비교는 반복대비(repeated contrast)를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치의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화에서는 로잉머신과 트레드밀운동 모두 하위요인인 체중, 체지방량의 감소와 제지방량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혈중지질의 변화에서는 로잉머신과 트레드밀운동 집단의 혈중지질 하위요인 모두 TC, TG, HDL-C, LDL-C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그렐린의 변화에서도 체중 감소로 인한 그렐린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만지적장애 아동의 근력운동과 유산소성 운동을 병행한 로잉머신 운동이 트레드밀만을 이용한 유산소성 운동보다 신체조성과 혈중지질 및 그렐린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appropriate exercise intensity in executing the rowing machine and treadmill exercise with combining regular aerobic exercise and muscular exercise after school for 12 weeks and to verify the training effects as to what influence it has on the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and ghrelin concentration of mentally weak children.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in grade 6 of B elementary school, a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in city A, and were composed of 20 mentally weak students (10 for rowing machine group, 10 for treadmill group). The measured data was processed with PASW Statistics 18.0 program to fi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and ghrelin between the groups, and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per exercise period per group, repetitive 2×3 two way ANOVA was executed, and in case of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mparison afterwards employed repeated contrast.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value was set to .05.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th rowing machine and treadmill exercise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sub-factors of weight, reduction in body fat, and increase in fat-free amount. Second, as for the change in blood lipid, all sub-factors of blood lipid in rowing machine and treadmill exercise group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in TC, TG, HDL-C, LDL-C, and third, the change in ghrelin was found to have effect in the increase of ghrelin due to reduction in body weight.
Combining the results above, the rowing machine exercise combining muscular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in obese mentally weak children was found to have more positive influence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and ghrelin than aerobic exercise using treadmill onl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