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in Korean Children Who Stutter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신문자(Moonja Shin) 전희정(HeeCheong Chon) 이지숙(JiSuk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304~31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가계력은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주요한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27명의 2∼6세 말더듬 아동(남자 180명, 여자 47명)이었으며, 각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 여부를 조사하고 가계력의 유형(부계와 모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은 112명(49.3%)으로 나타났다.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 중 일차친족(가족: first-degree relatives)의 말더듬을 보고한 아동들(남자 48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일차친족의 성별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47.9%,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0.0%로 나타났다. 여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7.1%,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가 42.9%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번 결과는 말더듬 아동 가족에게서 높은 비율의 말더듬 가계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결과들을 지지하고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 그리고 말더듬 가계력이 보고된 아동의 부계 또는 모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은 말더듬 집단의 이질성을 시사한다. 또한 말더듬의 시작과 진전은 말더듬이 진행되기 쉬운 유전적 소인뿐 아니라 환경적인 결합 또는 상호작용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in young Korean children who stutter (CWS). Methods: Participants were 227 CWS, 2 to 6 years of age (180 boys and 47 girls). Information regarding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was collected. Results: In this study, 49.3% of CWS (112 CWS) reported a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Of children whose first-degree relative(s) had stuttering problems (48 boys and 14 girls),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boys was 47.9%,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50.0%.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girls was 57.1%,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42.9%. Discussion & Conclusions: The high incidence of stuttering in the family of CWS supports previous research, which ha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stuttering is higher in stuttering populations. Differences in sex or type of family history (i.e., paternal, maternal),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This may indicate that stuttering is not a homogeneous disord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