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용민 이은형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국문 초록
최근 창조경영을 도입하고 기업의 경쟁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산업계에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창조경영이란 개념과 구성요인, 그리고 창조경영의 프로세스, 창조경영을 촉진하는 선행요인들, 창조경영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학문적으로 규명하려는 노력은 시작단계에 있다. 학계에서 창조경영과 가장 근접한 개념으로 연구할 수 있는 개념은 “조직 창의성(organizational creativity)”이다. 본고에서는 조직창의성의 개념과 구성요소, 선행요인, 특정방식, 그리고 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직창의성 연구를 살펴보기 위해 이론적 토대가 되는 ‘창의성’에 대해 개념적 정리를 하였고, 이어 개인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를 함께 정리했다. 개인 창의성 및 조직 창의성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함께 조직창의성 연구의 주요 흐름, 그리고 성과 및 측정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조직창의성 연구의 흐름을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심리학적 배경과 경영학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심리학적 배경은 주로 개인 창의성 연구에서 나타나는데 개인 특성, 즉 성격, 인지스타일, 지식, 내재적 동기 등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를 보는 데 주력하고 있다. 경영학적 배경은 크게 조직에 초점을 두는 것과 리더십스타일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개인, 집단, 그리고 조직의 창의성으로 차원을 나누어볼 때 가장 많은 관심은 개인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의 집단과 조직을 다루는 데 있었다. 즉 많은 논문이 개인, 즉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상황적 요소로서 집단(구성원의
다양성, 상사의 후원, 동료의 기대)과 조직(문화, 분위기, 조직구조, 리더십)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조직창의성의 성과로 조직구성원 개인의 창의성을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조직 자체의 창의성에 관심을 두는 경향이 나타났다. 즉 조직의 학습조직으로서의 능력, 문제해결능력, 혁신성, 변화능력 등으로 연결하려는 연구자들이 등장한 것이다. 이는 경영학적 관점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한 연구흐름으로 볼 수 있다. 창의성의 성과와 측정의 문제는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다. 개인 창의성을 측정하는 도구는 활발하게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지만 조직창의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진전이 없는 편이다. 조직 창의성 성과에 대한 연구가 대체로 설문조사, 인터뷰, 인류학적 방법을 통한 관찰 등 정성적 방법론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조직 창의성의 성과를 무엇으로 정의할 것인가부터 창의성 측정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개인 창의성 연구
3. 조직 창의성(Organizational Creativity) 연구
4. 창의성(creativity)과 성과
5. 조직 창의성(creativity)의 측정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