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s on Job Search Activities of College Graduates: College Transfer & Job Search Motivations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현동 성상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국문 초록
편입입학 경쟁률이 치열하며 어려운 관문을 뚫고 온 편입생 숫자 또한 늘어가는 추세이다. 기존의 편입생에 대한 연구는 대학생활에서 그들의 심리적 상태에 대한 조사에 치우쳐져 있었다. 현 연구는 대학생들의 역량과 전문성을 개발하고자 하는 투자와 노력에 따라 구직행위와 동기가 유의미하게 달라진다는 가정에 기반하여 편입생들과 재학생들의 구직행위와 동기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검증하였다. 우선 입학경로에 상관없이 취업준비상태가 잘 되어있는 학생들일수록 구직에 대한 노력과 강도가 높다. 편입생들은 재학생들과 비교하여 취업준비수준이 높으며 일자리 지원횟수가 매우 높아 구직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또한 편입생들은 일자리 제의를 내재적인 동기로 거절하는 비율이 재학생들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아 편입생들은 구직행위에서 내재적인 동기를 중시하고 있다. 구직행위와 동기에 있어서 편입생들과 재학생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므로 대학교 취업 센터에서는 반드시 입학경로를 고려하여 취업을 상담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Even though admissions to college transfer become fierce, college transfers have been increasing. As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college transfer,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college transfer influences job search activities and motivations. First of all.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SPEC' are more likely to exert job search efforts and have higher levels of job search motivations. College transfers have low levels of job search efficiency as they make efforts to develop SPEC and submit many applications to job positions. The main reasons for job rejections of college transfers are came from internal motivations. As college transfers have different job search activities and motivat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mission history when consulting job placements for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들
Ⅲ. 실증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Ⅴ.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