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김용구 김승철 김수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6년도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45~37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0

국문 초록
지적자본은 일반적으로 시장가치에서 장부 가치를 차감한 금액으로 산정하기도 한다. 최근 지식정보사회가 형성되면서 장부가치 대 시장가치의 비율이 6~10배에 이르는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미국 S&P 500대 기업의 장부가치 대비 시장가치 비율이 1990년 초기에서 2000년대 초기까지 10년간 6~7배 수준까지 증가한 것은 결국 기업의 지적자본증가가 시장가치 증진의 핵심임을 보여준다. 한편, 시장가치평가가 불가능한 조직들인 공공기관,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 등에 대해서도 지적자본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마치 시장가치가 평가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최초로 3년 동안 지적자본을 인적자본, 내부구조자본, 관계자 본 수준에서 측정ㆍ평가해 온 세계적 수준의 국내 E연구원의 지적자본 측정ㆍ평가모델과 지표결과와 E연구원의 지적자본경영성과를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조직의 경영활동보고는 전통적인 회계보고서, 이것을 전략적으로 보완하려는 BSC, 그리고 미래의 성장원천을 보고하는 지적자본보고서가 큰 주류를 형성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UN이나 국제기구 등에서 사회적 책임보고서, 환경보고서라는 새로운 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도 지적자본보고라는 새로운 보고체계가 구축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결국, 이런 모든 새로운 보고체계의 등장은, ‘기업이란 사람들의 선한의지가 미래를 향해 통합된 결속체이며 지구공동체에서 지속가능한 상생을 창조하는 역사적으로 가장 선진화된 조직 체계’임을 확인하는 시대정신의 진화 성과를 보여 준다. 그리고 이런 정신은 영리조직이든 비영리조직이든, 공조직이든 모두에서 공통적이다.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지적자본경영의 맥락에서 환경보고서, 사회적 책임보고서 등의 통합 가능성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조직의 경영활동보고는 전통적인 회계보고서, 이것을 전략적으로 보완하려는 BSC, 그리고 미래의 성장원천을 보고하는 지적자본보고서가 큰 주류를 형성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UN이나 국제기구 등에서 사회적 책임보고서, 환경보고서라는 새로운 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도 지적자본보고라는 새로운 보고체계가 구축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결국, 이런 모든 새로운 보고체계의 등장은, ‘기업이란 사람들의 선한의지가 미래를 향해 통합된 결속체이며 지구공동체에서 지속가능한 상생을 창조하는 역사적으로 가장 선진화된 조직 체계’임을 확인하는 시대정신의 진화 성과를 보여 준다. 그리고 이런 정신은 영리조직이든 비영리조직이든, 공조직이든 모두에서 공통적이다.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지적자본경영의 맥락에서 환경보고서, 사회적 책임보고서 등의 통합 가능성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E 연구원의 지적자본 경영
Ⅳ. 앞으로의 연구과제와 전망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E 연구원의 지적자본 경영
Ⅳ. 앞으로의 연구과제와 전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